#춤 #전환의시대 #정체성 #실천가 #교육현장
포스트 코로나,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인 오늘날, 무용예술교육의 본질적 가치와 실천가로서의 우리 역할에 대해 질문하고 성찰합니다. ‘춤은 무엇인가?,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아이들에게 춤은 어떤 의미인가?’ 등 주요 질문을 중심으로 무용교육현장에 대해 사례조사하고, 움직임 워크숍을 통해 주제를 구체화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예술교육실천가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선언문을 공동 제작합니다.
포스트 코로나시대,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춤이 가지는 시공간성, 일회성, 또 춤의 본질로서의 ‘몸’에 대하여 메타버스와, 다회성, 그리고 ‘몸이 없는 몸’으로 춤이 가지는 정체성의 모순에 마주하고 있습니다.
예술교육실천가로서 시대적 전환기를 필연적으로 맞닥뜨리며 나의 예술과 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질문으로 돌아가, 현시대 예술교육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를 교육현장에서 실천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교류활동입니다. 무거운 주제와 질문이었지만 그 무게를 나누어 보려는 모둠원들의 열정과 의지라는 공통의 지점들로 유쾌한 첫만남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시대적 전환기의 무용예술교육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교육현장에서 실천하기!
전회차 오프라인 진행. 오픈 워크샵4회
회차 | 일정 | 내용 | 운영방식 |
---|---|---|---|
1회 | 9월 26일 | 처음 만나기 - OT/ 4가지 방향성에 따른 행복한 소통하기 전문강사 초빙 | 오프라인 |
2회 | 10월 17일 | 나의 예술 그리고 춤 - 주제토의/오픈워크샵 | 오프라인 |
3회 | 10월 24일 | 공교육 안과 밖 무용예술1 - 발도로프학교교사 멘토링/오픈 워크샵 | 오프라인 |
4회 | 10월 31일 | 공교육 안과 밖 무용예술2 | 오프라인 |
5회 | 11월 7일 | 공교육 안과 밖 무용예술3 - 문화예술교육학교담당교사 멘토링/주제토의/오픈워크샵 | 오프라인 |
6회 | 11월 14일 | 지금의 시대 무엇을 가르쳐야 하나? - 주제토의 | 오프라인 |
7회 | 11월 21일 | 무엇이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가? - 주제토의 | 오프라인 |
8회 | 11월 28일 | 몸을 통한 표현은 어떻게 시작되고 끝나야 하는가? - 전문예술교육자 멘토링 /오픈 워크샵 | 오프라인 |
9회 | 12월 1일 | 나는 예술교육실천가? - 리사이클 북바인딩 노트 만들기와 선언문 제작 | 오프라인 |
10회 | 12월 5일 | 미니포럼 및 네트워크파티 | 오프라인 |
1회차
2022. 9. 26. 13:00 ~ 15:00
#행복한소통 #동물로알아본성격유형
2회차
2022. 10. 17. 13:00 ~ 15:00
#OX토크 #나와 예술 #예술의 가치 #이상향 #사람 #즐거움 #이해
3회차
2022. 10. 24. 13:00 ~ 15:00
#발도르프교육 #슈타이너 #대안교육 #교육예술 #오픈워크숍 #멘토링
4회차
2022. 10. 31. 13:00 ~ 15:00
#학교 #학교밖 #직관 #상상 #창의력 #삶과 연결
5회차
2022. 11. 7. 13:00 ~ 15:00
#공교육 #오픈워크숍 #멘토링 #교육 환경 #학교 교사 #팀티칭
6회차
2022. 11. 14. 13:00 ~ 15:00
#4차산업혁명시대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 #미래교육 #주제토의
7회차
2022. 11. 21. 13:00 ~ 15:00
#함께 #감각 #움직임 #놀이 #감정 #연결 #상상
8회차
2022. 11. 28. 13:00 ~ 15:00
#멘토링 #오픈워크숍 #전문예술인 #창의성 #자유 #틀 #놀이하는춤 #다양성
주요 활동 내용
9회차
2022. 12. 1. 13:00 ~ 15:00
#의지 #선언 #함께 #노트 #리사이클 #사소함
10회차
2022. 12. 5. 13:00 ~ 15:00
#미니포럼 #네트워크파티 #선언문 #창의적 #자유 #공유 #즉흥춤 #바다
나의 일상의 재료 제작된 노트 첫장을 펼치면 앞면에 동료들과 함께 고민하고 나누어 현장에서 실천되고자 하는 모두의 의지를 담은 선언문이 있습니다. 이 노트는 2023년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우리의 실천들이 기록 되어 다시 함께 나누기를 약속하며 제작되었습니다.